세계 양궁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계 양궁 선수권 대회는 세계 양궁 연맹(World Archery Federation)이 주관하는 양궁 대회로, 다양한 종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대회로는 야외, 실내, 필드, 3D, 장애인, 스키, 청소년, 대학 양궁 선수권 대회가 있으며, 이 외에도 세계 양궁 플라이트, 스키, 달리기 선수권 대회도 개최된다. 야외 양궁은 올림픽 종목과 동일하며, 대한민국은 이 대회에서 1985년, 2009년, 2025년에 대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대한민국은 리커브 종목에서 김우진, 김진호, 김수녕 등 세계적인 선수들을 배출했으며, 특히 김우진은 남자 개인전에서 최다 우승 타이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컴파운드 종목에서는 2015년과 2017년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강세를 보였다. 국가별 메달 순위에서 미국이 1위, 대한민국이 2위를 기록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계 양궁 선수권 대회 - 1979년 세계 양궁 선수권 대회
1979년 세계 양궁 선수권 대회는 개인전에서 데럴 페이스와 김진호가 우승하고, 단체전에서 미국과 대한민국이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특히 김진호는 더블라운드 세계 최고 기록을 경신하며 한국 양궁의 도약에 기여, 대한민국이 양궁 강국으로 발돋움하는 계기가 되었다. - 세계 양궁 선수권 대회 - 2021년 세계 양궁 선수권 대회
2021년 세계 양궁 선수권 대회는 2021년에 개최되었으며, 대한민국이 리커브 종목에서, 콜롬비아가 컴파운드 부문에서 강세를 보였다. - 국기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국기 - 아시아
아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크고 인구가 많은 대륙으로, 유라시아 동쪽 4/5를 차지하며, 4대 문명 중 3개의 발원지이고 다양한 종교와 문화가 발전했으며 경제 성장과 분쟁을 동시에 겪고 있다.
세계 양궁 선수권 대회 | |
---|---|
대회 정보 | |
이름 | 세계 양궁 선수권 대회 |
원래 이름 | World Archery Championships |
종류 | 세계 선수권 대회 |
상태 | 진행 중 |
장르 | 세계 선수권 대회 |
빈도 | 연간 (2003년 이전에는 2년마다) |
개최 장소 | 다양함 |
위치 | 다양함 |
국가 | 다양함 |
첫 대회 | 1931년 |
참가자 | 다양함 |
웹사이트 | 세계 양궁 연맹 |
역사 | |
첫 대회 | 1931년 |
기타 | |
주최 | 세계 양궁 연맹 |
2. 주요 대회
세계 양궁 선수권 대회는 세계 양궁 연맹이 주관하는 여러 양궁 종목의 선수권 대회를 통칭한다. 주요 대회는 다음과 같다.[3][4]
종목 | 첫 대회 | 최근 대회 |
---|---|---|
세계 야외 타겟 선수권 대회 | 1931년 | 2023년 (52회) |
세계 실내 타겟 선수권 대회 | 1991년 | 2018년 (14회) |
세계 필드 양궁 선수권 대회 | 1969년 | 2024년 (28회) |
세계 3D 양궁 선수권 대회 | 2003년 | 2024년 (11회) |
세계 스키 양궁 선수권 대회 | 1999년 | 2017년 (10회) |
세계 장애인 양궁 선수권 대회 | 1998년 | 2023년 (14회) |
세계 청소년 양궁 선수권 대회 | 1991년 | 2023년 (18회) |
세계 대학 양궁 선수권 대회 | 1996년 | 2016년 (11회) |
세계 양궁 플라이트 선수권 대회, 세계 양궁 스키 선수권 대회, 세계 양궁 달리기 선수권 대회 등도 있다. 집행위원회 판단에 따라 세계 선수권 대회가 열리지 않을 수 있다.
2. 1. 야외 양궁 (Outdoor Target Archery)
세계 양궁 선수권 대회의 가장 대표적인 종목은 야외 양궁(Outdoor Target Archery)이다. 이 종목은 올림픽 양궁과 동일하며, 1931년 폴란드 리비우에서 첫 대회가 개최되었다.[10] 2023년에는 독일 베를린에서 52회 대회가 열렸다. 대한민국은 1985년 서울, 2009년 울산, 그리고 2025년 광주에서 대회를 개최(예정)한다.[5][6]횟수 | 연도 | 개최지 | 남자 개인 | 여자 개인 | 남자 단체 | 여자 단체 | 혼성 단체 |
---|---|---|---|---|---|---|---|
1 | 1931 | 리비우 | 미할 사비츠키 | 비공식 | - | ||
2 | 1932 | 바르샤바 | 로랑 레트 | 비공식 | |||
3 | 1933 | 런던 | 매켄지 | 야니나 쿠르코프스카 | 비공식 | 비공식 | |
4 | 1934 | 보스타드 | 키옐손 | 야니나 쿠르코프스카 | 비공식 | 비공식 | |
5 | 1935 | 브뤼셀 | (논란) C. 레네체크 / 아드리엔 판 콜런 | I. 카타니 | 비공식 | 비공식 | |
6 | 1936 | 프라하 | 헤일보른 | 야니나 쿠르코프스카 | 비공식 | 비공식 | |
7 | 1937 | 파리 | 더론스 | 사이먼 | |||
8 | 1938 | 런던 | F. 하다스 | 웨스턴마터 | |||
9 | 1939 | 오슬로 | 브데 | 야니나 쿠르코프스카 | |||
10 | 1946 | 스톡홀름 | 탕홀바크 | 버 | |||
11 | 1947 | 프라하 | 데우트겐 | 야니나 쿠르코프스카 | |||
12 | 1948 | 런던 | 데우트겐 | 버 | |||
13 | 1949 | 파리 | 데우트겐 | 워터하우스 | |||
14 | 1950 | 코펜하겐 | 데우트겐 | 리 | |||
15 | 1952 | 브뤼셀 | S. 안데르손 | 리 | |||
16 | 1954 | 오슬로 | B. 룬드그렌 | 진 리처즈 | |||
17 | 1955 | 헬싱키 | N. 안데르손 | 카타지나 비스니오프스카 | |||
18 | 1957 | 프라하 | O.K. 스매더스 | 캐롤 메인하트 | |||
19 | 1958 | 브뤼셀 | 스티그 튀셀 | 시그리드 요한손 | |||
20 | 1959 | 스톡홀름 | 제임스 캐스퍼스 | 앤 코비 | |||
21 | 1961 | 오슬로 | 조 손턴 | 낸시 본더하이드 | |||
22 | 1963 | 헬싱키 | C. T. 샌들린 | 빅토리아 쿡 | |||
23 | 1965 | 베스테로스 | 마티 하이코넨 | 마이레 린드홀름 | |||
24 | 1967 | 아메르스포르트 | 레이 로저스 | 마리아 마친스카 | |||
25 | 1969 | 밸리 포지 | H. 워드 | D. 리드스톤 | |||
26 | 1971 | 요크 | J. C. 윌리엄스 | E. 가프첸코 | |||
27 | 1973 | 그르노블 | 빅토르 시도루크 | 린다 마이어스 | |||
28 | 1975 | 인터라켄 | 대럴 페이스 | 제비니소 루스타모바 | |||
29 | 1977 | 캔버라 | 리처드 매키니 | L. 라이언 | |||
30 | 1979 | 베를린 | 대럴 페이스 | 김진호 | |||
31 | 1981 | 푼타알라 | 키요스티 라소넨 | 나탈리아 보토소바 | - | ||
32 | 1983 | 로스앤젤레스 | 리처드 매키니 | 김진호 | |||
33 | 1985 | 서울 | 리처드 매키니 | 이리나 솔다토바 | - | ||
34 | 1987 | 애들레이드 | 블라디미르 에셰프 | 마샹쥔 | - | ||
35 | 1989 | 로잔 | 스타니슬라프 자브로드스키 | 김수녕 | - | ||
36 | 1991 | 크라쿠프 | 사이먼 페어웨더 | 김수녕 | |||
37 | 1993 | 안탈랴 | 박경모 | 김효정 | |||
38 | 1995 | 자카르타 | 이경철 | 나탈랴 발리바 | |||
39 | 1997 | 빅토리아 | 김경호 | 김두리 | |||
40 | 1999 | 리옹 | 홍성칠 | 이은경 | |||
41 | 2001 | 베이징 | 연정기 | 박성현 | |||
42 | 2003 | 뉴욕 | 미켈레 프란질리 | 윤미진 | |||
43 | 2005 | 마드리드 | 정재헌 | 이성진 | |||
44 | 2007 | 라이프치히 | 임동현 | 나탈랴 발리바 | |||
45 | 2009 | 울산 | 이창환 | 주현정 | |||
46 | 2011 | 토리노 | 김우진 | 데니스 판 라모엔 | 임동현/기보배 | ||
47 | 2013 | 안탈랴 | 이승윤 | 마야 야게르 | 오진혁/기보배 | ||
48 | 2015 | 코펜하겐 | 김우진 | 기보배 | 구본찬/기보배 | ||
49 | 2017 | 멕시코시티 | 임동현 | 크세니야 페로바 | 임동현/강채영 | ||
50 | 2021 | 사우다코타 | 김우진 | 장민희 | 김우진/안산 |
2. 2. 실내 양궁 (Indoor Target Archery)
세계 실내 양궁 선수권 대회는 1991년 핀란드 오울루에서 첫 대회가 개최되었으며, 2018년 미국 얀크턴에서 14회 대회가 열렸다.[11]회차 | 연도 | 개최지 | 종목 수 |
---|---|---|---|
1 | 1991 | 오울루 | 4 |
2 | 1993 | 페르피냥 | 4 |
3 | 1995 | 버밍엄 | 8 |
4 | 1997 | 이스탄불 | 8 |
5 | 1999 | 하바나 | 8 |
6 | 2001 | 피렌체 | 8 |
7 | 2003 | 니므 | 8 |
8 | 2005 | 올보르 | 8 |
9 | 2007 | 이즈미르 | 16 |
10 | 2009 | 예슈프 | 16 |
11 | 2012 | 라스베이거스 | 16 |
12 | 2014 | 니므 | 16 |
13 | 2016 | 앙카라 | 16 |
14 | 2018 | 얀크턴 | 16 |
2. 3. 필드 양궁 (Field Archery)
세계 필드 양궁 선수권 대회는 세계 양궁 연맹이 주관하는 필드 양궁 대회이다. 1969년 미국 밸리 포지에서 첫 대회가 개최되었으며, 2024년 캐나다 락 라 비슈에서 28회 대회가 개최될 예정이다.회차 | 년도 | 개최지 | 종목 |
---|---|---|---|
1 | 1969 | 밸리 포지 | align=center | |
2 | 1971 | 카디프 | align=center | |
3 | 1972 | 고리치아 | align=center | |
4 | 1974 | 자그레브 | align=center | |
5 | 1976 | 멀른달 | align=center | |
6 | 1978 | 제네바 | align=center | |
7 | 1980 | 팔머스턴 노스 | align=center | |
8 | 1982 | 킹스클리어 | align=center | |
9 | 1984 | 휘빙케 | align=center | |
10 | 1986 | 라드슈타트 | align=center | |
11 | 1988 | 볼차노 | align=center | |
12 | 1990 | 뢰엔 | align=center | |
13 | 1992 | 마르그라텐 | align=center | |
14 | 1994 | 베르튀 | align=center | |
15 | 1996 | 크란스카 고라 | align=center | |
16 | 1998 | 오베르구르글 | align=center | |
17 | 2000 | 코르티나 | align=center | |
18 | 2002 | 캔버라 | align=center | |
19 | 2004 | 플리트비체 | align=center | |
20 | 2006 | 예테보리 | align=center | |
21 | 2008 | 일위니피아 | align=center | |
22 | 2010 | 비셰그라드 | align=center | |
23 | 2012 | 발디제르 | align=center | |
24 | 2014 | 자그레브 | align=center | |
25 | 2016 | 더블린 | align=center | |
26 | 2018 | 코르티나 | align=center | |
27 | 2021 | 양크턴 | align=center | |
28 | 2024 | 락 라 비슈 | align=center | |
2. 4. 3D 양궁 (3D Archery)
세계 3D 양궁 선수권 대회는 2003년 프랑스 슐리쉬르루아르에서 첫 대회가 개최되었으며, 2024년 슬로베니아 모크리체에서 11회 대회가 개최될 예정이다.회차 | 년도 | 개최지 | 종목 수 |
---|---|---|---|
1 | 2003 | 슐리쉬르루아르 | 8 |
2 | 2005 | 제노바 | 8 |
3 | 2007 | 쇼프론 | 10 |
4 | 2009 | 라티나 | 10 |
5 | 2011 | 도너스바흐 | 10 |
6 | 2013 | 사사리 | 10 |
7 | 2015 | 테르니 | 10 |
8 | 2017 | 아비뇽 | 10 |
9 | 2019 | 라크 라 비시 | 10 |
10 | 2022 | 테르니 | 14 |
11 | 2024 | 모크리체 | 14 |
2. 5. 장애인 양궁 (Para Archery)
1998년 영국 스토크 맨더빌에서 첫 대회가 개최되었으며, 2023년 체코 플젠에서 14회 대회가 열렸다. 2025년에는 대한민국 광주에서 15회 대회가 개최될 예정이다.회차 | 년도 | 개최지 | 종목 수 |
---|---|---|---|
1 | 1998 | 스토크 맨더빌 | |
2 | 1999 | 크라이스트처치 | |
3 | 2001 | 님부르크 | |
4 | 2003 | 마드리드 | |
5 | 2005 | 마사 카라라 | |
6 | 2007 | 청주 | |
7 | 2009 | 님부르크 | |
8 | 2011 | 토리노 | |
9 | 2013 | 방콕 | |
10 | 2015 | 도나우에싱엔 | |
11 | 2017 | 베이징 | |
12 | 2019 | 스헤르토헨보스 | |
13 | 2022 | 두바이 | 16 |
14 | 2023 | 플젠 | 17 |
15 | 2025 | 광주 |
2. 6. 스키 양궁 (Ski Archery)
1999년 프랑스에서 첫 대회가 개최되었으며, 2017년에 10회 대회가 열렸다.[8]회차 | 연도 | 개최지 | 종목 |
---|---|---|---|
1 | 1999 | - | align=center | |
2 | 2000 | - | align=center | |
3 | 2001 | - | align=center | |
4 | 2005 | align=center | | |
5 | 2007 | align=center | | |
6 | 2009 | align=center | | |
7 | 2011 | align=center | | |
8 | 2013 | 모스크바 | align=center | |
9 | 2015 | align=center | | |
10 | 2017 | align=center | |
2. 7. 대학 양궁 (University Archery)
세계 대학 양궁 선수권 대회는 1996년 프랑스 볼크스앙벨랑에서 첫 대회가 개최되었으며, 2016년 몽골 울란바토르에서 11회 대회가 열렸다.회차 | 년도 | 개최지 |
---|---|---|
1 | 1996 | 볼크스앙벨랑 |
2 | 1998 | |
3 | 2000 | 마드리드 |
4 | 2002 | 촌부리 |
5 | 2004 | 마드리드 |
6 | 2006 | 비니치네 |
7 | 2008 | -- 타이난 |
8 | 2010 | 선전 |
9 | 2012 | 코르도바 |
10 | 2014 | 레그니차 |
11 | 2016 | 울란바토르 |
2. 8. 청소년 양궁 (Youth Archery)
세계 청소년 양궁 선수권 대회는 1991년 노르웨이 산데피오르에서 첫 대회가 개최되었으며, 2023년 아일랜드 리머릭에서 18회 대회가 열렸다. 2025년 캐나다 위니펙에서 19회 대회가 개최될 예정이다.[7]회차 | 년도 | 개최지 | 종목 수 |
---|---|---|---|
1 | 1991 | 산데피오르 | align=center | |
2 | 1993 | 몰리에-에-마 | align=center | |
3 | 1994 | 론체뇨 | align=center | |
4 | 1996 | 훌라 비스타 | align=center | |
5 | 1998 | 순네 | align=center | |
6 | 2000 | 벨포르 | align=center | |
7 | 2002 | 님부르크 | align=center | |
8 | 2004 | 릴레샬 | align=center | |
9 | 2006 | 메리다 | align=center | |
10 | 2008 | 안탈리아 | align=center | |
11 | 2009 | 오그든 | align=center | |
12 | 2011 | 레그니차 | align=center | |
13 | 2013 | 우시 | 20 |
14 | 2015 | 얀크턴 | 20 |
15 | 2017 | 로사리오 | 20 |
16 | 2019 | 마드리드 | 20 |
17 | 2021 | 브로츠와프 | 20 |
18 | 2023 | 리머릭 | 20 |
19 | 2025 | 위니펙 | 20 |
리커브 종목은 올림픽에서 채택된 양궁 종목으로, 세계 양궁 선수권 대회에서도 가장 중요한 종목 중 하나이다.
3. 역대 주요 성적 (리커브)
횟수 연도 개최지 남자 개인 여자 개인 남자 단체 여자 단체 혼성 단체 1 1931 리비우 미할 사비츠키 비공식 - 2 1932 바르샤바 로랑 레트 비공식 3 1933 런던 매켄지 야니나 쿠르코프스카 비공식 비공식 4 1934 보스타드 키옐손 야니나 쿠르코프스카 비공식 비공식 5 1935 브뤼셀 (논란) C. 레네체크 / 아드리엔 판 콜런 I. 카타니 비공식 비공식 6 1936 프라하 헤일보른 야니나 쿠르코프스카 비공식 비공식 7 1937 파리 더론스 사이먼 8 1938 런던 F. 하다스 웨스턴마터 9 1939 오슬로 브데 야니나 쿠르코프스카 10 1946 스톡홀름 탕홀바크 버 11 1947 프라하 데우트겐 야니나 쿠르코프스카 12 1948 런던 데우트겐 버 13 1949 파리 데우트겐 워터하우스 14 1950 코펜하겐 데우트겐 리 15 1952 브뤼셀 S. 안데르손 리 16 1954 오슬로 B. 룬드그렌 진 리처즈 17 1955 헬싱키 N. 안데르손 카타지나 비스니오프스카 18 1957 프라하 O.K. 스매더스 캐롤 메인하트 19 1958 브뤼셀 스티그 튀셀 시그리드 요한손 20 1959 스톡홀름 제임스 캐스퍼스 앤 코비 21 1961 오슬로 조 손턴 낸시 본더하이드 22 1963 헬싱키 C. T. 샌들린 빅토리아 쿡 23 1965 베스테로스 마티 하이코넨 마이레 린드홀름 24 1967 아메르스포르트 레이 로저스 마리아 마친스카 25 1969 밸리 포지 H. 워드 D. 리드스톤 26 1971 요크 J. C. 윌리엄스 E. 가프첸코 27 1973 그르노블 빅토르 시도루크 린다 마이어스 28 1975 인터라켄 대럴 페이스 제비니소 루스타모바 29 1977 캔버라 리처드 매키니 L. 라이언 30 1979 베를린 대럴 페이스 김진호 31 1981 푼타알라 키요스티 라소넨 나탈리아 보토소바 - 32 1983 로스앤젤레스 리처드 매키니 김진호 33 1985 서울 리처드 매키니 이리나 솔다토바 - 34 1987 애들레이드 블라디미르 에셰프 마샹쥔 - 35 1989 로잔 스타니슬라프 자브로드스키 김수녕 - 36 1991 크라쿠프 사이먼 페어웨더 김수녕 37 1993 안탈랴 박경모 김효정 38 1995 자카르타 이경철 나탈랴 발리바 39 1997 빅토리아 김경호 김두리 40 1999 리옹 홍성칠 이은경 41 2001 베이징 연정기 박성현 42 2003 뉴욕 미켈레 프란질리 윤미진 43 2005 마드리드 정재헌 이성진 44 2007 라이프치히 임동현 나탈랴 발리바 45 2009 울산 이창환 주현정 46 2011 토리노 김우진 데니스 판 라모엔 임동현/기보배 47 2013 안탈랴 이승윤 마야 야게르 오진혁/기보배 48 2015 코펜하겐 김우진 기보배 구본찬/기보배 49 2017 멕시코시티 임동현 크세니야 페로바 임동현/강채영 50 2021 사우다코타 김우진 장민희 김우진/안산
3. 1. 남자 개인
대한민국은 김우진(2011, 2015, 2021), 임동현(2007), 이창환(2009), 이승윤(2013) 등 세계적인 선수들을 배출하며 남자 개인전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1] 특히 김우진은 세계선수권 남자 개인전에서 3회 우승하여 최다 우승 타이기록을 보유하고 있다.[1]
3. 2. 여자 개인
대한민국은 1979년 베를린 대회에서 김진호가 여자 개인전에서 처음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1983년 로스앤젤레스 대회에서 김진호는 다시 한번 금메달을 차지하며 2관왕에 올랐다. 1989년 로잔 대회와 1991년 크라쿠프 대회에서는 김수녕이 여자 개인전 2연패를 달성했다.1993년 안탈랴 대회에서는 김효정, 1997년 빅토리아 대회에서는 김두리, 1999년 리옹 대회에서는 이은경이 금메달을 획득했다.
2001년 베이징 대회에서는 박성현이, 2003년 뉴욕 대회에서는 윤미진이, 2005년 마드리드 대회에서는 이성진이 금메달을 차지했다.
2009년 울산 대회에서는 주현정이, 2015년 코펜하겐 대회에서는 기보배가, 2021년 사우다코타 대회에서는 장민희가 금메달을 획득했다.
연도 | 대회명 | 선수 |
---|---|---|
1979 | 베를린 | 김진호 |
1983 | 로스앤젤레스 | 김진호 |
1989 | 로잔 | 김수녕 |
1991 | 크라쿠프 | 김수녕 |
1993 | 안탈랴 | 김효정 |
1997 | 빅토리아 | 김두리 |
1999 | 리옹 | 이은경 |
2001 | 베이징 | 박성현 |
2003 | 뉴욕 | 윤미진 |
2005 | 마드리드 | 이성진 |
2009 | 울산 | 주현정 |
2015 | 코펜하겐 | 기보배 |
2021 | 사우다코타 | 장민희 |
3. 3. 남자 단체
대한민국은 1985년 서울 대회, 1991년 크라쿠프 대회, 1995년 자카르타 대회, 1997년 빅토리아 대회, 2001년 베이징 대회, 2003년 뉴욕 대회, 2005년 마드리드 대회, 2007년 라이프치히 대회, 2009년 울산 대회, 2011년 토리노 대회, 2015년 코펜하겐 대회, 2021년 사우다코타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남자 단체전에서 전통적인 강세를 보였다.[1]횟수 | 연도 | 개최지 | 남자 단체 |
---|---|---|---|
33 | 1985 | 서울 | |
36 | 1991 | 크라쿠프 | |
38 | 1995 | 자카르타 | |
39 | 1997 | 빅토리아 | |
41 | 2001 | 베이징 | |
42 | 2003 | 뉴욕 | |
43 | 2005 | 마드리드 | |
44 | 2007 | 라이프치히 | |
45 | 2009 | 울산 | |
46 | 2011 | 토리노 | |
48 | 2015 | 코펜하겐 | |
50 | 2021 | 사우다코타 |
3. 4. 여자 단체
대한민국 여자 단체전은 1979년 베를린 대회에서 첫 우승을 차지한 이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압도적인 성적을 거두며 세계 최강의 자리를 지켜왔다.[1] 이후 1983년 로스앤젤레스 대회,[1] 1989년 로잔 대회,[1] 1991년 크라쿠프 대회,[1] 1993년 안탈랴 대회,[1] 1995년 자카르타 대회,[1] 1997년 빅토리아 대회,[1] 2003년 뉴욕 대회,[1] 2005년 마드리드 대회,[1] 2007년 라이프치히 대회,[1] 2009년 울산 대회,[1] 2013년 안탈랴 대회,[1] 2017년 멕시코시티 대회,[1] 2021년 사우다코타 대회[1] 등 수많은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세계 양궁 여자 단체전의 역사를 써 내려가고 있다.연도 | 개최지 | 여자 단체 |
---|---|---|
1979 | 베를린 | |
1983 | 로스앤젤레스 | |
1989 | 로잔 | |
1991 | 크라쿠프 | |
1993 | 안탈랴 | |
1995 | 자카르타 | |
1997 | 빅토리아 | |
2003 | 뉴욕 | |
2005 | 마드리드 | |
2007 | 라이프치히 | |
2009 | 울산 | |
2013 | 안탈랴 | |
2017 | 멕시코시티 | |
2021 | 사우다코타 |
3. 5. 혼성 단체
2011년 세계 양궁 선수권 대회에서 처음 도입된 혼성 단체전은 대한민국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대한민국은 임동현/기보배(2011년), 오진혁/기보배(2013년), 구본찬/기보배(2015년), 임동현/강채영(2017년), 김우진/안산(2021년) 조가 우승을 차지하며, 혼성 단체전 금메달 획득 횟수에서 다른 국가들을 압도하고 있다.[1]4. 역대 주요 성적 (컴파운드)
컴파운드 종목은 리커브와는 다른 활을 사용하는 종목이다. 대한민국은 컴파운드 종목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두고 있다.
회 | 연도 | 개최지 | 남자 개인전 | 여자 개인전 | 남자 단체전 | 여자 단체전 | 혼성 단체전 |
---|---|---|---|---|---|---|---|
38 | 1995 | 자카르타 | 게리 브로드헤드 | 앤절라 모스카렐리 | - | ||
39 | 1997 | 빅토리아 | 디 와일드 | 파비올라 팔라치니 | |||
40 | 1999 | 리옹 | 데이브 커즌스 | 카트린 펠랑 | |||
41 | 2001 | 베이징 | 데얀 시타르 | 울리카 쇼에발 | |||
42 | 2003 | 뉴욕 | 클린트 프리먼 | 메리 존 | |||
43 | 2005 | 마드리드 | 모르간 룬딘 | 소피아 곤차로바 | |||
44 | 2007 | 라이프치히 | 다이어트마 트릴러스 | 에우제니아 살비 | |||
45 | 2009 | 울산 | 레오 윌드 | 알비나 로지노바 | |||
46 | 2011 | 토리노 | 크리스토퍼 퍼킨스 | 알비나 로지노바 | 세르조 파니/마르첼라 토니올리 | ||
47 | 2013 | 안탈랴 | 미커 슬루서르 | 크리스티나 베르거 | 마르첼라 도니올리/다밀로 안드레스 카르도나 | ||
48 | 2015 | 코펜하겐 | 스테판 한센 | 김윤희 | 김종호/김윤희 | ||
49 | 2017 | 멕시코시티 | 세바스티앙 페노 | 송윤수 | 김종호/송윤수 |
4. 1. 대한민국 주요 성적
5. 국가별 메달 순위
순위 | 국가 | 금 | 은 | 동 | 합계 |
---|---|---|---|---|---|
1 | 65 | 39 | 34 | 138 | |
2 | 66 | 26 | 27 | 119 | |
3 | 19 | 22 | 23 | 64 | |
4 | 18 | 16 | 12 | 46 | |
5 | 14 | 9 | 4 | 27 | |
6 | 11 | 19 | 26 | 56 | |
7 | 11 | 9 | 9 | 29 | |
8 | 9 | 16 | 16 | 41 | |
9 | 7 | 13 | 9 | 29 | |
10 | 7 | 5 | 9 | 21 | |
11 | 7 | 5 | 6 | 18 | |
12 | 6 | 12 | 10 | 28 | |
13 | 5 | 9 | 9 | 23 | |
14 | 5 | 1 | 3 | 9 | |
15 | 4 | 6 | 7 | 17 | |
16 | 3 | 9 | 3 | 15 | |
17 | 3 | 3 | 6 | 12 | |
18 | 3 | 2 | 7 | 12 | |
19 | 2 | 7 | 4 | 13 | |
20 | 2 | 2 | 9 | 13 | |
21 | 1 | 8 | 7 | 16 | |
22 | 1 | 4 | 3 | 8 | |
23 | 1 | 4 | 1 | 6 | |
24 | 1 | 3 | 1 | 5 | |
25 | 1 | 2 | 4 | 7 | |
26 | 1 | 1 | 1 | 3 | |
27 | 1 | 1 | 0 | 2 | |
28 | 1 | 0 | 1 | 2 | |
1 | 0 | 1 | 2 | ||
30 | 1 | 0 | 0 | 1 | |
1 | 0 | 0 | 1 | ||
1 | 0 | 0 | 1 | ||
33 | 0 | 8 | 2 | 10 | |
34 | 0 | 5 | 6 | 11 | |
35 | 0 | 3 | 5 | 8 | |
36 | 0 | 1 | 1 | 2 | |
0 | 1 | 1 | 2 | ||
38 | 0 | 1 | 0 | 1 | |
0 | 1 | 0 | 1 | ||
0 | 1 | 0 | 1 | ||
0 | 1 | 0 | 1 | ||
러시아 양궁 연맹 | 0 | 1 | 0 | 1 | |
43 | 0 | 1 | 0 | 1 | |
44 | 0 | 0 | 1 | 1 | |
0 | 0 | 1 | 1 | ||
0 | 0 | 1 | 1 | ||
0 | 0 | 1 | 1 | ||
0 | 0 | 1 | 1 | ||
0 | 0 | 1 | 1 | ||
0 | 0 | 1 | 1 | ||
50 | 0 | 0 | 1 | 1 |
2021년 대회까지 대한민국은 총 99개(금 57, 은 24, 동 18)의 메달을 획득하여 미국에 이어 종합 2위를 기록하고 있다.[1] 대한민국은 양궁 강국으로서, 특히 리커브 종목에서 압도적인 성적을 보여주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World Championships
https://web.archive.[...]
2013-10-25
[2]
웹사이트
Search
https://worldarchery[...]
2017-07-23
[3]
웹사이트
https://rulebook.wor[...]
[4]
웹사이트
Rulebook | World Archery
https://worldarchery[...]
[5]
뉴스
광주, 2025년 세계양궁선수권대회 개최지로 선정
https://news.kbs.co.[...]
[6]
뉴스
Korea to host World Archery Championships in 2025
https://worldarchery[...]
2021-12-05
[7]
뉴스
Korea to host World Archery Championships in 2025
https://worldarchery[...]
2021-12-05
[8]
웹사이트
Ski Archery World Championships starting today in Moscow
https://worldarchery[...]
2015-03-30
[9]
문서
http://www.archery.o[...]
[10]
문서
http://www.archery.o[...]
[11]
문서
http://www.archery.o[...]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양궁 컴파운드 최용희, 광주 세계선수권 개인전 홀로 16강 진출
컴파운드 양궁, 세계선수권 예선 남녀 1위…김종호·소채원 혼성전 출격
광주 대인예술야시장, 올가을 더 풍성하게 열린다
비도 소음도 뚫고 "엑스텐!"…양궁대표팀 쏟아낸 명장면
광주서 열리는 세계양궁선수권, 북한도 오나···조직위 ‘대북 접촉’ 승인
'파리 3관왕' 김우진·임시현, 대표 선발전 1위…세계양궁선수권 출격
광주 세계양궁대회 결승전, 5·18광장서 6일간 열린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